본문 바로가기
2009.09.18 03:11

한머사니 먹었수다!

조회 수 747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머사니 먹었수다!

‘한머사니’는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평안, 함남, 강원도의 고성 이북 지역에서 쓴다. “오늘 낮으는 우리 집 거리굿이 돼서 나가네가 한머사니 와서 나갈 짬이 없수다레.”(<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경상 지역의 ‘한거석~한거’, 전라 지역의 ‘한거시기~한나’, 제주 지역의 ‘하영’과 마찬가지로 ‘한머사니’도 ‘많다’의 의미를 갖는 옛말 ‘하다’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거석’과 ‘한거시기’, ‘한머사니’는 모두 형용사 ‘하다’의 관형형 ‘한’과,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거시기’가 결합되거나 ‘거시기’의 방언형 ‘거석’과 ‘머사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거석’은 ‘거시기’에 대응하는 경상 지역, ‘머사니’는 평안, 함남, 강원 일부 지역의 고장말이다. ‘머사니’는 ‘무엇이가니’가 ‘무엇이가니>머시가니>머사니’와 같이 줄어진 말이다. ‘거시기’는 흔히들 전라 지역의 전형적인 고장말로 알고 있지만 놀랍게도 사전에는 표준어로 올라 있는 말이다.

‘한머사니’의 또 다른 형태는 ‘할메사니’인데, 이는 ‘한머사니’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마치 ‘할머니’의 고장말 ‘할메니~할매니’가 ‘한머니>할머니>할메니~할매니’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과 같다. “이제야 곪운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할메사니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23
3282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63
328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464
328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464
3279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465
3278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66
3277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68
3276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68
3275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69
3274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70
3273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72
3272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77
3271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77
3270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78
326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82
3268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82
3267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85
3266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7
326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87
3264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88
3263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89
3262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92
3261 까치발 風文 2023.11.20 1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