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6 10:26

하영 먹어마씀!

조회 수 944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영 먹어마씀!

고장말

‘하영’은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제주 지역의 고장말이다. 경상 지역의 고장말 ‘한거’와 마찬가지로 ‘하영’은 ‘많다’ 또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의 어근 ‘하-’와 토 ‘-영’이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말이다. ‘-영’은 제주말에서 주로 ‘하다(많다)’나 ‘족다(작다)’에 결합되어 부사형을 만드는 토로 표준어 ‘-게’와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사실이 그렇댄 해도 밥 하영 먹는 식모옌 사방팔방에 놈(남)한티 소문내는 벱이 어디 이시니?”(<순이 삼촌> 현기영) “길녜, 하영 잡았구만. 재기재기(빨리빨리) 와서 불추라(불 쬐라).”(<밀물> 강인수)

‘많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는 우리말에서 이미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제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가 사라지기 이전 시기에는 형용사 ‘하다’(많다)와 동사 ‘N다’(>하다)가 서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래아’(·)의 소실과 함께 ‘N다’가 ‘하다’로 변하면서 결국 형용사 ‘하다’와 동사 ‘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50
3260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79
32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479
3258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80
325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82
3256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83
3255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83
3254 지슬 風文 2020.04.29 1484
3253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484
325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486
325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86
3250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7
3249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491
3248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494
324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94
3246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495
3245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96
3244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98
3243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498
3242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498
324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01
3240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04
3239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