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9 23:37

물총새

조회 수 901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총새

짐승이름

“잔잔한 강물 위 허공에 못박힌듯/ 물총새 문득 날아와 정지비행을 한다./ 팽팽한 일촉즉발의 숨막히는 한 순간/ 표적이 잡히자마자 온몸을 내리꽂아/ 홀연히 그 부리로 잡아채는 은비녀/ 비린 살 마구 파닥이는 저 눈부신 화두여.(‘강가에 앉아’·조동화)

쫓고 쫓기는 고리들. 이것이 삶이요, 자연의 질서다. 물고기와 물총새의 관계에는 먹히느냐 살아남느냐 하는 절박한 문제가 따른다. 마침내 재수없는 물고기는 물총새의 밥이 되고 만다. 물고기는 은비녀처럼 살아서 도망쳐 보겠다고 파닥일밖에. 물총새란 총알처럼 빠르게 물속으로 들어가 고기나 새우, 더러는 벌레를 잡는다고 붙인 이름일 터.

물총새의 전설이 어느 신문에 소개된 일이 있었다. 물총새가 바다를 날다가 지치면 암놈이 수놈의 밑으로 들어가 수놈을 업고 난다. 어디 암수 관계만 그러랴. 함께 걷다 같이 살다 누구인가 지치고 쓰러지려 할 때, 손을 내밀어 산다면 그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이 될 것인가. 물총새의 삶에서 사람이 배울 바도 있다.

물총새는 겉으로 보기가 아름다워 비취옥 같다 하여 비조(翡鳥)라 이른다. <열녀춘향수절가>에 “호연 비조 뭇새들은 농초화답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들어 온갖 춘정 다투었다”에 그런 비유가 나온다. 꽃 피는 봄을 맞은 젊은이들의 애틋한 설렘을 노래했다. 소한 대한 다 지났거늘 입춘을 어찌 멀다 하리.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11
343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9044
3432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8053
343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263
3430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276
342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1170
3428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40185
342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360
3426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78
3425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588
3424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112
3423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86
3422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858
342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47
3420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429
341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754
341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493
3417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178
3416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82
3415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80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