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1 01:39

파스

조회 수 1293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스

외래어

발을 헛디뎌 관절을 삐거나 타박상을 입었을 때 쓰는 약품으로 ‘파스’가 있다. ‘파스’는 조금 어려운 말로 외용 소염진통제, 곧 살갗에 바르는 염증과 통증 완화 약인데, 예전에는 납작한 통에 가득 들어 있는 반투명 연고 또는 접착제 성분을 한쪽에 바른 손바닥만 한 하얀 천 두 가지 형태였다. 요즘은 그 형태와 종류가 무척 많아졌다. 벌레 물린 데 바르는 물파스가 있는가 하면, 축구 경기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뿌리는 파스, 로션처럼 걸쭉한 파스도 있다. 요즘의 파스는 대개 시원한 것과 더운 것으로 나뉜다.

약품의 한 종류를 일컫는 ‘파스’는 독일말 ‘파스타’(Pasta)에서 끝의 ‘타’가 떨어져 줄어든 꼴이다. 혹시 줄임꼴을 좋아하는 일본말에서 온 것이 아닐까 싶어 찾아보니, 1950년대에 우리나라에 수입되어 팔렸던 일본의 유명 제품 이름에 ‘파스’가 쓰였다고 한다. 그 제품 이름은 ‘사롱파스’(サロンパス)였는데, 지금까지도 일본에서는 그 제품 이름 자체를 우리의 ‘파스’처럼 쓴다고 한다. 60년대부터는 일제 파스 못잖은 국산 파스가 생산되었고, 그 기업은 다행히 지금까지도 건재하다.

한편, ‘파스’라는 말은 ‘크레파스’의 준말로 쓰이기도 하고, ‘타이어가 파스 나다’처럼 유래를 알 수 없는 말로도 쓰인다. 또 예술·의약 용어로 각각 달리 쓰이고, 경기에서 공을 다른 선수에게 넘긴다는 뜻의 ‘패스’를 북한에서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73
317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10
3171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10
3170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47
3169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87
3168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17
316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76
316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84
316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09
3164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06
3163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17
3162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12
3161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42
3160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17
3159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38
315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28
3157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12
3156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44
315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31
31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45
315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76
315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39
3151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