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08 02:16

퍼주기

조회 수 683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주기

언어예절

“함지에 보리밥을 퍼 담고, 두레박으로 물을 퍼 올리며, 채독에서 쌀을 한 보시기 퍼 동냥을 준다”처럼 활용하여 ‘퍼-’로 쓰는 말에 ‘푸다’가 있다. 이에 ‘주다’를 합치고 뒷가지 ‘기’를 붙여 ‘퍼주기’를 만들어 쓴다.

몇 해 이 말의 폭발력은 대단했다. 2000년대 초부터 반북정서를 대변해, 햇볕·포용, 평화·번영 등 정부의 대북정책을 뭉뚱그려 비판하는 용어로 쓰였다. 말 자체가 주는 단순성과 적확성으로 정부의 대북정책을 꼬집고 무력화하는 데 큰 구실을 했다.

이 말을 부려쓰는 쪽에서는 애초 헤아림 같은 것은 버렸다. 인도적 지원과 경제협력 원조를 구별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싸잡은 것이다. 남북 관계를 깊이 생각하고 배려하는 이의 ‘말씀’은 아니란 말이다.

이후 ‘퍼주기’의 쓰임은 선거, 외교·통상, 단체교섭 등으로 그 영역이 넓어진다. 선심 공약, 선심 정책, 조공 외교, 선물 외교 …에서 ‘퍼주기’가 그 앞말을 대신했다. 이는 고정된 말뜻으로 굳어지지 않고 살아 있는 말로서 여러 언어 환경에서 적응한다는 뜻이겠다.

나눔·베풂·선심·보시보다 떳떳하고 좋은 게 뭐가 있겠는가. 보답을 바라지 않는다. 본디 대가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와는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굳이 따지자면 ‘상호주의’나 ‘주고받기’가 상대되는 말이 되겠지만, 최근 들어서는 ‘퍼주기’도 ‘주고받기’도 듣기가 어려워졌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36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28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16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699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159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24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789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35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60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353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06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14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242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96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39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43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41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597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374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775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400
31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03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