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6 03:42

조회 수 544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장말

“아부지, 돌 굴러가유!”

어린 시절 충청도 말씨가 느린 것을 빗댈 때 자주 듣던 말이다. “아녀유, 지년이 원제유?”(<공산토월> 이문구) ‘-유’는 글자꼴로 보아 표준어의 높임토 ‘-요’에 대응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충청도 말 ‘-유’는 경상도의 ‘-예’, 전라도의 ‘-라우’, 제주도의 ‘-마씀/양’처럼 말끝에 두어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할아버지 손님 왔슈.” “뉘라느냐?” “위떤 뇌인양반유.”(<관촌수필> 이문구)

‘-유’ 앞에서 말끝에 쓰여 반말을 나타내는 ‘-어’는(밥 먹었어. 집에 갔어) ‘-이’로 바뀌기도 한다. “귓싸대기를 쌔려번질까 허다가 확 집어 저리 내던져 버렸슈. 붸가 여간 안 나더랑께유. 뒈지는 시늉 허길래 살려 줬이유.”(위 책)
“농사먼 지었이유.” “보리쌀 팔아 왔이유.”

잘 했쥬(<했지유), 왔슈(<왔어유), 그류(<그리유)와 같이 ‘-유’ 앞에 ‘ㅣ’가 탈락하고, 앞에 있는 소리와 합쳐져 ‘-슈/쥬/류’와 같이 발음하기도 한다. 다만 ‘-슈’는 때에 따라서 ‘어서 오시우 > 어서 오슈’와 같이 ‘시우’가 줄어든 말이기도 하다. 이때 ‘-우’는 두루높임을 나타내는 표준어 ‘요’가 아니라, 예사높임을 나타내는 ‘-오’다. “정신 좀 드슈? 내가 누구여, 누구여 내가 …… 알어보겄느냐먼?” “어디 갔다 오슈?”

말끝을 다소 느릿느릿 소리내야 그 말맛을 느낄 만하다. “말이 느리니께 행동두 굼뜬 거 가티유?”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443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97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42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63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59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52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37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76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20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09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76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84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72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78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85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27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88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95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13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18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94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88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