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1 13:29

조회 수 7283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해동에 여섯 용이 나타나시니 모든 일에 하늘의 뜻 아님이 없도다.(용비어천가) 여기서 용은 조선 건국과 관련한 세종 임금의 선대들을 이른다. 용포·용루·용안·용상 …들이 모두 임금과 관련한 말들이다.

용의 옛말은 ‘미르’(훈몽자회)다. ‘미르’는 물(水)이니 ‘밀-물’로 이어지는 낱말 겨레라 할 수 있다. 용은 물과 불을 다스리는 상징이었다. 농경 시기에 물이란 신격일 만큼 소중한 것이었다. 한자음으로 용은 영(靈)과 상통하는 바 있다.

땅이름에도 ‘용 계열’이 숱하다. 용산(미르기메)·용천(미리내)·용소(미르기물)에다 용강·용전·용지·용성·용담·용두 …들이 곳곳에 있다.

단군신화의 풍백·우사·운사도 용의 의인화 과정 아닐까? 고주몽도 마찬가지. 해모수와 오룡거에서 용이 끄는 수레가 바로 용과의 관련을 드러낸다. 석탈해 임금도 용성국(龍城國) 사람이다. 백제 무왕이 연못의 용과 어머니 사이에서 났다.(서동요) 용건(龍建)의 아들 고려 태조 왕건, 용의 후손이란 창녕 조씨 시조 조계룡 …두루 같은 범주들이다. 용은 주로 임금과 같은 권위의 화신으로 받들린다.

이서의 마경초집(馬經抄集)에 동계(東溪) 선생이 곡천(曲川) 선생에게 말의 계보를 물어본다. 용에서 토끼로, 토끼는 기린으로, 기린은 말로 계보를 이어간다. 말도 천마사상과 같이 하늘과 통하는 신령성을 부여함을 보면 두루 짐승을 인간의 조상으로 믿는 토템의 한 얼 안에 넣어야 할 것이다. 용 날아 빛나는 거기 온갖 사랑 강물처럼.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77
2996 바람의종 2008.07.28 6310
2995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04
2994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64
2993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6986
2992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01
2991 바람의종 2008.08.03 6677
299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37
2989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43
2988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09
2987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73
2986 바람의종 2008.08.08 5781
2985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16
2984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63
2983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35
2982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684
» 바람의종 2008.08.21 7283
2980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52
2979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092
2978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69
2977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36
2976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03
2975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3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