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5 05:21

새이방우, 새미골

조회 수 673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이방우, 새미골

땅이름

말은 시간에 따라 변하며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옛말과 현대말이 다르며, 지리·사회적 분화도 다양하게 이뤄진다. 말의 분화는 어휘나 문법뿐만 아니라 말소리 차이에서도 생겨난다.

‘새이방우’와 ‘새미골’은 경상방언의 말소리 체계를 반영한 땅이름이다. ‘새이방우’는 ‘송이처럼 생긴 바위’를 뜻하고, ‘새미골’은 ‘샘이 있는 마을’이다. ‘송이’가 ‘쇵이’나 ‘생이’로 발음되는 연유는 이 단어의 뒷음절 ‘이’가 앞음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먹이다’가 ‘멕이다’로 발음되는 이치와 같다. 이렇게 변화한 ‘생이’가 ‘새이’로 바뀐 까닭은 경상방언에서 ‘이’의 기능이 점점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샘의 골’이 ‘새미골’로 바뀐 데서도 찾을 수 있다.

경상방언은 표준어와는 달리 ‘ㅔ·ㅐ’, ‘ㅓ·ㅡ’가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겹홀소리 ‘ㅢ’를 잘 내지 못한다. ‘갈 거다’를 [갈 끼다]로, ‘먹는다’를 [묵는다]로 발음하는 현상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쇵이’가 ‘새이’로 굳어지고, ‘샘의’가 ‘새미’로 발음되는 현상은 겹홀소리 체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래 우리말은 ‘이’가 뒤에 합쳐지는 겹홀소리가 많았다. 그런데 오늘날은 ‘이’가 뒤에 오는 겹홀소리 가운데 ‘의’만 남아 있으므로 ‘의’는 발음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경상도에서는 ‘의’를 ‘이’로 ‘위’를 ‘우’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휘뿐만 아니라 말소리에서도 방언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947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91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18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48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39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41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32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58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02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297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73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73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58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50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61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18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76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81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05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11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86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83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