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4 02:02

죽전과 삿대수

조회 수 815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죽전과 삿대수

땅이름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보면, 황해북도 서흥군은 도호부가 있던 곳으로 동쪽은 신계현, 서쪽은 봉산군, 남쪽은 평산부, 북쪽은 수안군 사이에 있었다. 서흥부 동쪽 30리에 죽전(竹田)이란 곳이 있는데, 화살을 뜻하는 ‘죽전’(竹箭)으로도 불렀다. <용비어천가>에는 이 땅이름을 ‘전죽수’(箭竹藪)라고 했는데, ‘화살과 대나무와 늪’이란 뜻이다. 그런데 화살과 대나무, 그리고 늪은 아무 관련이 없는 사물들이다.

토박이 땅이름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우리말과 중국어의 말소리 차이를 살필 수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소리가 바뀐 한자음을 본음과 같게 만들고자 펴냈던 <동국정운>에서, 우리말 한자어 중 ‘리을(ㄹ) 받침’으로 끝나는 말들은 중국어의 경우 ‘디귿(ㄷ)’처럼 들리는 말들이었다. 이른바 이영보래(以影補來)는 한자음 영(ㆆ)으로 래(ㄹ)음을 보충함으로써 중국음에 가깝게 낸다는 뜻이다.

<용비어천가>에서 ‘전죽수’를 한글 ‘삿대수’로 표기한 점은 매우 흥미롭다. 왜냐하면 ‘전’(箭)은 우리말 ‘살’인데, 이를 ‘삿’으로 적었으므로 ‘전죽수’에서 ‘전’(箭)의 의미는 화살과는 관련이 없는 셈이다. 이 말은 ‘사이’를 뜻하는 ‘사△ㅣ’의 옛말 형태로 볼 수 있다. ‘삿’은 ‘사이’나 ‘새’로 바뀔 수도 있지만 ‘삿[또는 삳]’이 ‘살’로 바뀔 수도 있다. ‘전죽수’가 ‘여러 지형에 놓인 늪’을 뜻하는 말이라면, ‘죽전’(竹田)은 ‘전죽’의 어순이 바뀌어 형성된 동음이의어 ‘죽전’(竹箭)에서 온 말이 된다. 이처럼 ‘대밭’으로 풀이되는 죽전이라는 땅이름 속에 우리말의 또다른 모습이 담겼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2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92
3062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41
3061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54
3060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28
3059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3
»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6
3057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786
3056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36
3055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4
3054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5
305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3052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5
3051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799
3050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76
3049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44
304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6999
3047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52
3046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74
3045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0
304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72
3043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11
3042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43
3041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