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4

수자리와 정지

조회 수 807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자리와 정지

땅이름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나오는 ‘에정지’는 양주동의 <여요전주> 이후로 경상 방언 ‘부억’을 뜻한다고 푼다. 부엌에 해당하는 ‘정지’가 있다고 해서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정지 가다가 드로라”를 ‘부엌에 가다가 듣는다’로 푸는 건 부자연스럽다.

땅이름에는 정자·군막 같은 인조물에서 비롯된 것들도 많다. 넓은 들이나 수려한 경관을 배경으로 정자를 짓고 나그네들의 쉼터로 이용하거나 은둔의 근거지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정자가 있던 마을에는 으레 ‘정자골’이 생겨난다. ‘정’(亭)은 또한 역참·군막을 일컫기도 했으니 ‘수자리’와도 관련이 깊다. 신라 때 군사 제도인 ‘9정’ 역시 수자리와 관련을 맺는다. ‘수자리’의 수는 ‘지킬 수’[守]와 음이 같고, 이는 ‘술·숯’과 음이 유사하다. 따라서 ‘수자리’ 대신 ‘술골·숯골’이 생겨나며, 이런 땅이름은 ‘술 주’[酒], ‘숯 탄’[炭]을 가져다 ‘주곡·주동·탄곡·탄동’으로 바꾼다. 이쯤 되면 ‘수자리’의 본뜻은 사라지고 술이나 숯과 관련된 땅이름처럼 여겨진다.

‘에정지’는 ‘어정지’(於亭地)로 보는 게 타당할 듯싶다. 고시조에서 한자어 ‘어혈지다’를 ‘에혈지다’로 표기한 사례가 있듯, 어조사 ‘어’(於)를 ‘에’로 발음하는 것은 흔하며, ‘정지’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청산별곡>은 ‘사슴탈을 쓴 배우가 장대에 올라 해금 켜는 것을 듣는 장면’을 그렸으므로, 굳이 부엌에 가다가 들었다기보다 ‘정지’에 가다가 들었다는 뜻으로 푸는 게 자연스럽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95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50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35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45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64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25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25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05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62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74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87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50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48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04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68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5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089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20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45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40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59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92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