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2

사변

조회 수 595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변

북녘말

사변(事變)은 남북이 같이 쓰는 말인데, 쓰임에서 남북 차이가 있다. 남녘에서는 ‘만주사변, 을미사변’과 같이 주로 역사적이고 부정적인 일에 쓰는데, 북녘에서도 ‘을미사변’을 쓰지만, 일상적인 일과 긍정적인 일에도 ‘사변’을 쓴다.

“‘허! 이건 굉장한 사변인데.’ 봉서는 쓰거운 웃음을 눈가에 띄우며 씨까부렸다.”(조선단편집, 3. 씨까부리다: 남의 비위를 건드리면서 놀려댄다는 뜻)
“새 북부철길의 개통은 두메산간오지에서도 기관차의 기적소리 울려퍼지게 하는 또 하나의 커다란 사변이였다.”(조선말대사전)

남녘에서는 “우리나라의 가정은 사변 때 식구들의 생사조차 서로 모를 정도로 파괴되었다.”(김승옥, 역사)와 같이 ‘육이오 사변’을 ‘사변’으로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육이오 사변’ 대신 ‘한국 전쟁’을 쓰기도 하지만, ‘사변’이라는 말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남아 있다고 하겠다. 그 영향인지 몰라도 남녘에서 사변은 많이 쓰이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른 ‘사변’ 다섯 개 가운데 최근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말은 사변(思辨)으로 보인다. 이 사변은 주로 ‘사변적 방법, 사변적이다’와 같이 ‘-적’과 함께 쓰인다.

사변에 대한 미묘한 차이는 초기 북녘 사전에서도 확인된다. 1961년에 나온 <조선말사전>에서는 ‘변스러운 사건’, ‘비상한 사건’ 외에 ‘중대한 일’이라는 풀이가 있다. 남녘 사전에서는 최근 사전까지도 부정적인 뜻으로만 풀이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북녘에서는 오래전부터 긍정적인 뜻으로도 쓰인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37
3106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09
3105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510
3104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516
3103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517
3102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20
3101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522
3100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25
3099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28
3098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528
3097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29
3096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530
3095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537
3094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541
3093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541
3092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550
3091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551
3090 존맛 風文 2023.06.28 1552
3089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554
3088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559
3087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567
3086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567
3085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