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2

사변

조회 수 595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변

북녘말

사변(事變)은 남북이 같이 쓰는 말인데, 쓰임에서 남북 차이가 있다. 남녘에서는 ‘만주사변, 을미사변’과 같이 주로 역사적이고 부정적인 일에 쓰는데, 북녘에서도 ‘을미사변’을 쓰지만, 일상적인 일과 긍정적인 일에도 ‘사변’을 쓴다.

“‘허! 이건 굉장한 사변인데.’ 봉서는 쓰거운 웃음을 눈가에 띄우며 씨까부렸다.”(조선단편집, 3. 씨까부리다: 남의 비위를 건드리면서 놀려댄다는 뜻)
“새 북부철길의 개통은 두메산간오지에서도 기관차의 기적소리 울려퍼지게 하는 또 하나의 커다란 사변이였다.”(조선말대사전)

남녘에서는 “우리나라의 가정은 사변 때 식구들의 생사조차 서로 모를 정도로 파괴되었다.”(김승옥, 역사)와 같이 ‘육이오 사변’을 ‘사변’으로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육이오 사변’ 대신 ‘한국 전쟁’을 쓰기도 하지만, ‘사변’이라는 말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남아 있다고 하겠다. 그 영향인지 몰라도 남녘에서 사변은 많이 쓰이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른 ‘사변’ 다섯 개 가운데 최근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말은 사변(思辨)으로 보인다. 이 사변은 주로 ‘사변적 방법, 사변적이다’와 같이 ‘-적’과 함께 쓰인다.

사변에 대한 미묘한 차이는 초기 북녘 사전에서도 확인된다. 1961년에 나온 <조선말사전>에서는 ‘변스러운 사건’, ‘비상한 사건’ 외에 ‘중대한 일’이라는 풀이가 있다. 남녘 사전에서는 최근 사전까지도 부정적인 뜻으로만 풀이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북녘에서는 오래전부터 긍정적인 뜻으로도 쓰인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06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49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34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45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63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21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21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196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62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74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85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48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43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04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59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5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089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20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43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36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59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84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