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794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38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54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39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47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64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30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25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05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62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78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87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50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48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04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68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62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089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20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46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40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63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92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