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80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57
3216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38
3215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41
321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42
3213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44
3212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546
3211 ○○노조 風文 2022.12.26 1546
321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47
320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48
3208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549
320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50
3206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552
3205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53
3204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554
320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58
3202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60
3201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60
3200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62
3199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63
3198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65
3197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67
3196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68
3195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