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6 12:04

소와리골

조회 수 717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와리골

땅이름

김유정은 스물아홉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토속 작가다. 그래서 그런지 안성 쪽 박두진 문학관이나 경주의 김동리 문학관과 대비할 때, 그의 생가를 배경으로 조성된 유정 문학관은 화려함보다는 소박함을 느낄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과 같이 제목에서부터 정감을 드러낸다. “제-미 키두. 개돼지는 푹푹 크는데 왜 이리도 사람은 안 크는지.” 딸이 크면 성례를 올려 주겠다는 마름의 말을 믿고 데릴사위 노릇을 하는 <봄봄>의 ‘나’가 뱉어놓은 바보 같은 중얼거림에서 우리는 안타까움보다는 부드럽고 상큼한 웃음을 지어낼 수 있다. 이런 김유정의 문학을 키워낸 바탕에는 그가 살았던 마을과 순박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의 마을 뒷산에는 유정이 다녔음직한 골짜기와 고개가 한눈에 보이는데, 이들 산에는 소나무·갈나무·생강나무 등이 아름답게 자란다.

‘소와리골’도 유정의 뒷산에 있는 골짜기의 하나다. ‘소와리’는 ‘송화’가 변한 말이라고 하는데, 어쩌면 ‘소아리’를 뜻하는 말일 수도 있다. ‘소아리’는 사전에 실리지 않은 강원도 토박이말로 ‘잎이 많은 소나무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에 ‘아지’ 계통의 ‘아리’가 붙어 된 말로, 어린 소나무일수록 잎이 짙고 무성하다.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시간이 날 때면, 담장 대신 소아리를 베어다 울타리를 만들던 풍습이 사라진 지 오래 되었는데, 유정의 문학지도에 ‘소와리골’은 토속어 ‘소아리’의 쓰임새를 생각하게 하는 그림이라고 할 만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1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97
343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871
3432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911
343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128
3430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164
342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1028
3428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40044
342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260
3426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22
3425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452
3424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051
3423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04
3422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737
342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08
3420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325
341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601
341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371
3417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126
3416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24
3415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8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