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73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71
334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14
333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90
33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30
331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52
330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75
329 갑질 風文 2024.03.27 1759
32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44
327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10
32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83
325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400
324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536
323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60
322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46
321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144
32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627
319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19
318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49
317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96
316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721
315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59
314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41
313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