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63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23
3128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37
3127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337
3126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337
3125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47
3124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47
312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49
3122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351
3121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354
3120 지슬 風文 2020.04.29 1356
3119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360
311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366
311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67
311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367
311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370
3114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370
3113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370
3112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376
3111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76
3110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78
310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382
3108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382
310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3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