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8

패수와 열수

조회 수 10285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수와 열수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를 보면, 광개토왕 4년 8월에 왕이 패수(浿水)에서 백제와 크게 싸워 이겼다는 기록이 나온다. ‘패수’가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라 선덕왕 때에 한산주에 ‘패강진’(浿江鎭)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황해도 평산에 ‘패강진’이 있었다고도 한다. 또한 패수를 열수(列水)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열’(列)은 ‘벌림’을 뜻하는 말이므로 거센소리가 되기 이전의 ‘패수’와 같은 말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패수’의 ‘배’를 ‘밝음’을 뜻하는 ‘ㅂ·ㄺ’으로 풀이한 바 있다. 이 풀이를 그대로 믿을 수는 없으나 ‘패수’의 ‘패’나 ‘열수’의 ‘벌’은 모두 땅이름에 쓰이는 ‘벌’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다만 ‘벌’은 넓은 들을 뜻하며, 강을 낀 넓은 벌판은 사람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 된다.

광개토의 아들인 장수왕은 사천(蛇川) 들에 나아가 사냥하면서 흰노루를 잡았고, 이후 평양으로 천도한 임금이다. 장수왕이 사냥했다는 ‘사천’ 또한 ‘뱀ㄴ·ㅣ’다. ‘사천’과 ‘사수’(蛇水)는 같은 뜻이니 이 또한 ‘벌’이다. 사학자 이병도는 ‘패수’를 청천강이라고 했는데, 한백겸의 <동국지리지>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땅이름 ‘패강·패수·사천’ 등이 ‘벌’과 관련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패수는 ‘벌’을 낀 강을 두루 나타내는 보통명사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패수’에서 확인되는 ‘벌’의 땅이름 분포는 고조선의 영토 고증뿐만 아니라 우리 겨레의 뿌리를 찾는 데 귀중한 자료로 쓸 만한 보기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77
3128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888
3127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14
312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18
3125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754
3124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6988
3123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23
3122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53
3121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10
312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121
3119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546
3118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863
3117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22
»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285
3115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699
3114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63
3113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391
3112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758
3111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637
3110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731
3109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289
3108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467
3107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8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