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6

각시취

조회 수 732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각시취

풀꽃이름


 



‘각시취’는 양지 바른 가을 들판에 자라는 국화과 풀꽃이다. 신부의 상징색이 붉은 계열이다 보니, 짙은 분홍·자주·보랏빛 예쁜 꽃을 보고 각시를 붙였나 보다. 흔히 ‘각시’는 ‘각시수련·각시붓꽃·각시원추리’ 등의 쓰임을 볼 때 작고 연약하고 예쁜 풀꽃에 붙이는데, 각시취는 키도 크고 튼튼해 보이는 점이 좀 다르다.

‘각시’는 아내의 다른 말로서 주로 갓 시집 온 새색시를 이른다. 이는 옛말 ‘가시’에서 ‘갓시>갇시>각시’로 바뀐 것이다. 흔히 우리말 퀴즈에도 자주 나오는 ‘가시버시’를 국어사전들에서 대부분 ‘신랑신부’의 낮춤말로 풀이했는데, ‘버시’는 ‘벗+이’로 ‘각시를 벗 삼아’ 정다운 부부 모습을 가리키는 어찌씨로 보는 견해도 있다.

‘취’는 나물을 뜻하는데, ‘채’(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봄에 나물로 해 먹는다. 잎에 털이 있어서 ‘참솜나물’이라고도 한다.

‘우렁각시’는 있어도 ‘우렁신랑’이 없는 현실은 새색시한테도 상당한 기대가 깃들어 있음을 본다. 힘든 티 내지 않으면서 살림도 잘 하고, 애도 잘 기르고, 돈도 잘 버는(효도도 잘 하는) 우렁각시는 예나 지금이나 남자들의 바람인 모양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98
3128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648
3127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49
312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49
3125 너무 風文 2023.04.24 1650
3124 단골 風文 2023.05.22 1652
3123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55
3122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655
3121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56
3120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657
31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661
3118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669
311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673
3116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675
3115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78
311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678
3113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680
311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686
3111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687
311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89
3109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691
3108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691
3107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6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