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1

논개

조회 수 842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논개

임진년 왜란을 일으킨 왜적은 진주성을 여러 번 쳤으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3년 진주성을 무너뜨려 사람과 짐승 씨 하나 남기지 말라 명했다. 대군과 맞서 여러 차례 싸움에서 지켜낸 진주성도 기어이 무너지고 말았다. 촉석루에서 축하 잔치를 벌인 왜적들, 돋은 바위 위 한 여인의 아리따움에 홀린 왜장 게야무라. ‘양귀비꽃보다 더 붉은 마음’의 ‘논개’(論介)는 열손 가락지 낀 손을 깍지 껴 그를 안고 ‘강낭콩보다 더 푸른’ 남강으로 뛰어들었다.

논개라는 이름은 남자이름으로도 쓰였는데, 밑말 ‘논’에 ‘개’가 더해진 이름이다. 이름접미사 ‘-개’는 ‘-가’(加), ‘-가이’(加伊)와 뒤섞여 쓰였다. 명가(明加)/명개(明介), 풍가(豊加)/풍개(豊介)/풍가이(豊加伊). 동국신속삼강행실에는 한자로는 是加(시가)·楊加(양가)·億壽(억슈)·仇守(구슈)·梅花(매화)·葵花(규화), 한글로는 낱낱 ‘시개·양개·억슈ㅣ·구슈ㅣ·매홰·규홰’로 적고 있다. 홀소리로 끝나는 말끝에 /ㅣ/가 덧대지는 규칙이 있었던 모양인데, 이름접미사 ‘-가’가 ‘-가이/개’로 바뀌는 것 또한 이런 규칙의 영향인 듯하다.

고온개·난개·노난개·어둔개·언개·이른개·쟈근개 따위의 이름은 ‘고운 게, 난 게, 노는 게, 어둔 게, 언 게, 이른 게, 작은 게’처럼 들린다. ‘-개’가 단순히 이름접미사로 쓰인 이름에 가디개·검쇠개·긋개·귿탕개·기ㅁ.개·논개·눈개·똥개·막개·망죵개·미ㄴ.ㄹ개 ·범개·보롬개·복개·블개·삼개·솝동개·수개·슌개·씨개·어영개·언개·엄개·움개·허롱개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51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08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09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69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02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51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46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16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27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56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02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18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31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85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16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83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78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01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65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39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76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