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1

논개

조회 수 831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논개

임진년 왜란을 일으킨 왜적은 진주성을 여러 번 쳤으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3년 진주성을 무너뜨려 사람과 짐승 씨 하나 남기지 말라 명했다. 대군과 맞서 여러 차례 싸움에서 지켜낸 진주성도 기어이 무너지고 말았다. 촉석루에서 축하 잔치를 벌인 왜적들, 돋은 바위 위 한 여인의 아리따움에 홀린 왜장 게야무라. ‘양귀비꽃보다 더 붉은 마음’의 ‘논개’(論介)는 열손 가락지 낀 손을 깍지 껴 그를 안고 ‘강낭콩보다 더 푸른’ 남강으로 뛰어들었다.

논개라는 이름은 남자이름으로도 쓰였는데, 밑말 ‘논’에 ‘개’가 더해진 이름이다. 이름접미사 ‘-개’는 ‘-가’(加), ‘-가이’(加伊)와 뒤섞여 쓰였다. 명가(明加)/명개(明介), 풍가(豊加)/풍개(豊介)/풍가이(豊加伊). 동국신속삼강행실에는 한자로는 是加(시가)·楊加(양가)·億壽(억슈)·仇守(구슈)·梅花(매화)·葵花(규화), 한글로는 낱낱 ‘시개·양개·억슈ㅣ·구슈ㅣ·매홰·규홰’로 적고 있다. 홀소리로 끝나는 말끝에 /ㅣ/가 덧대지는 규칙이 있었던 모양인데, 이름접미사 ‘-가’가 ‘-가이/개’로 바뀌는 것 또한 이런 규칙의 영향인 듯하다.

고온개·난개·노난개·어둔개·언개·이른개·쟈근개 따위의 이름은 ‘고운 게, 난 게, 노는 게, 어둔 게, 언 게, 이른 게, 작은 게’처럼 들린다. ‘-개’가 단순히 이름접미사로 쓰인 이름에 가디개·검쇠개·긋개·귿탕개·기ㅁ.개·논개·눈개·똥개·막개·망죵개·미ㄴ.ㄹ개 ·범개·보롬개·복개·블개·삼개·솝동개·수개·슌개·씨개·어영개·언개·엄개·움개·허롱개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31
3150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341
3149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42
314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45
3147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51
3146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351
3145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52
3144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52
3143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53
3142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356
314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360
3140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61
313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363
3138 지슬 風文 2020.04.29 1364
3137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66
3136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366
3135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67
3134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72
3133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72
313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74
3131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381
3130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383
312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3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