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9 02:02

쑥부쟁이

조회 수 730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쑥부쟁이
 



 


가을 꽃으로 흔히 ‘국화’를 떠올린다. 하지만 국화과의 꽃은 세계에서 2만종이 넘고, 우리나라 산과 들에도 흔히 들국화라 부르는 구절초·감국·산국·개미취·쑥부쟁이 등 수많은 종의 국화가 있다. 요즘 곳곳의 수목원에서 들국화 잔치를 연다고 한다. ‘쑥부쟁이’는 제주 고장말로도 ‘드릇국화’라고도 하듯이, 가을에 산과 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연보랏빛 풀꽃이다.

쑥부쟁이는 꽃모습보다 전설이 더 유명하다. 옛날 충청도에 가난한 대장장이 가족이 살았는데, 너무 가난하여 큰딸이 쑥을 캐어 많은 식구들이 먹고 살았다. 쑥부쟁이는 ‘쑥을 캐는 불쟁이의 딸’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대장장이는 곧 ‘불쟁이’이고, ‘ㄹ’이 탈락하여 ‘부쟁이’가 된다. 그 부쟁이의 딸이 한양에 간 사랑하는 이를 기다리다 숨진 곳에 난 꽃이 쑥부쟁이라고 한다. 유난히 목이 길어 누구를 애타게 기다리는 모습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같은 국화로 이르지만 황실의 화려한 금빛 국화로도, 비바람에 흔들리는 한 송이 작은 들꽃으로도 살 수 있는 것이 세상사라는 것을 쑥부쟁이를 보면서 새삼 느끼게 된다. 꽃의 마음으로는 어떤 삶이 더 좋을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2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58
3150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012
3149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43
3148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422
3147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284
3146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650
3145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18
3144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789
3143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535
3142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118
3141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526
3140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793
3139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545
3138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182
313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448
»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301
3135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833
3134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597
3133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15
3132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272
3131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29
3130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468
3129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8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