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6 04:49

영양과 ‘고은’

조회 수 1079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영양과 ‘고은’

경상북도 영양(英陽)의 옛이름은 고은(古隱)이었다. 한자 뜻을 풀이하면, 산수가 화려하여 선비들이 은둔하기에 좋은 땅쯤 된다. 본디 이 지역은 고구려 우시군(于尸郡)을 신라 경덕왕이 유린(有隣)으로 고치고, 다시 고려 태조가 영양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오늘날의 행정구역을 고려한다면 육지의 섬처럼 외져 있으니 ‘고은’이라는 땅이름이 어울리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영양의 옛이름이었던 ‘고은’은 ‘곱다’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옛말에서는 어두운 홀소리와 밝은 홀소리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곱다’는 현대 국어의 ‘굽다’와 같은 뜻이 된다. 이를 고려할 때 ‘고은’은 ‘곱’에 ‘은’이 붙어 만들어진 이름으로 볼 수 있다. 특이한 경우지만 우리말에서 ‘은’이 명사를 파생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얼다’라는 말에 ‘은’이 붙어 ‘어른’을 만들어내며, ‘임시로 남의 행랑에 붙어 지내는 사람’을 뜻하는 ‘드난’은 ‘들다’와 ‘나다’를 합친 데에 ‘은’이 붙어 된 말이다.

‘고은’이 ‘굽다’에서 비롯된 말이었음은 영양을 감돌아 흐르는 ‘감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자 땅이름으로 ‘반변천’(半邊川)·곡강(曲江)이라 부르는 이 강을 달리 ‘감내·감들내’라 부르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지역은 금장산·백암산·명동산·일월산 등의 산과 장군천·장파천·반변천 등의 하천이 굽이져 만나는 곳이다. 산세와 물이 좋은 땅이므로 ‘굽다’의 다른 의미인 ‘곱다’의 뜻이 강화되어 아름답고 독특한 지역 문화를 일구어 온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97
3150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41
3149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641
3148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42
3147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643
314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649
3145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652
3144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652
3143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55
314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61
3141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63
3140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65
3139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66
3138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67
3137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69
3136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71
3135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672
3134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677
3133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78
3132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79
3131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82
3130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86
3129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6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