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0 16:14

버들과 땅이름

조회 수 810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버들과 땅이름

땅이름에 나무를 뜻하는 말이 들어 있는 경우는 비교적 많다. 나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잣나무’와 ‘소나무’다. 잣바우덕·잣방산·잣밭등·잣밭골·잣고개 등은 ‘잣’을 고유어로 나타낸 것이며, 백촌리·백곡·백성동 등은 ‘잣’의 한자어 ‘백’(柏)을 쓴 것이다. 소나무와 관련된 땅이름도 비교적 많다. ‘솔고개·솔모루’ 등이 그것이며, ‘송악’(松嶽)에도 소나무를 뜻하는 한자 ‘송’(松)이 들어 있다.

그러나 ‘송악’의 ‘송’이 ‘소나무’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괴산’(槐山)에 들어 있는 ‘괴’도 한자의 본뜻인 ‘홰나무’에서 온 말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땅이름의 유래를 확인하려면, 그런 이름이 붙은 까닭을 짐작할 만한 충분한 단서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버들’와 관련된 이름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버드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민요나 옛시조에도 자주 등장하는 나무인데도 그와 관련된 땅이름을 찾기가 쉽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한 추론 가운데 하나는 ‘버드나무’가 산스크리트어에서 왔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재집>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버들가지를 ‘비탁가지’라고 하였다고 풀이한 바 있다. 평양을 ‘유경’(柳京)이라 한 것과 충남 해미의 개심사 들머리 ‘버드실’처럼 일부 땅이름에 ‘버들’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라는 정감 어린 시조에도 나오는 버드나무가 땅이름에 덜 쓰이는 까닭은 땅이름의 발달 과정에서 외래어가 덜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06
3150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632
3149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34
3148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34
3147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635
3146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36
3145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38
3144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639
3143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645
314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46
314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47
3140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49
3139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57
3138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57
3137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662
3136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63
3135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66
3134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67
3133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669
3132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70
3131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73
3130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673
3129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