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8 14:19

일터 말

조회 수 952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터 말

집안을 넘어서면 일터와 일자리와 일벗이 있다. 사회를 꾸리는 온갖 동아리가 여기 든다. 예나 오늘이나, 개인·경영자, 대선후보랄 것 없이 일자리 만들기를 첫손으로 꼽는데, 집안·사원·백성을 먹여 살리는 일인 까닭이다. 일자리·일터·일벗과 거래하는 이가 ‘손님’이다. 손님은 호칭·지칭 두루 쓰는 말이고, ‘고객’은 지칭일 뿐인데, 거기다 ‘님’을 붙여 부른다. ‘님’은 아무 말에나 붙어서도 그를 높이는 구실을 하는 부닥방망이와 같다.

일터 말은 비교적 쉽다. 직책·직위·이름을 부르면 되는 까닭이다. 일본 등 직책·직위만 생짜로 부르는 쪽도 있는데, 우리완 맞지 않아서 기분이 껄끄러워지고 정나미가 떨어진다. 일터에서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성명·직책·직위에 ‘님’을 붙여 부르는 게 자연스럽고 편하다. 아랫사람에겐 ‘님’자를 꺼리지만, 인색해야 할 아무 까닭이 없다. 다만 ‘성+씨’, ‘이름+직책·직위+님’은 어울리지 않는다.

같은 분야에서 나이·지위·역량 따위가 앞선 이를 ‘선배’라 부른다. 격식을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정답고 편한 느낌을 준다. ‘동지’는 이념이 실린 말로서 부를 때는 동급 이하에 쓰이며, ‘동무’(벗)는 걸림말이지만 북녘에서는 부름말로도 쓴다. 두루 주로 ‘성’과 어울린다.

일터에서 이제 ‘미스·미스터’는 우스개가 된 듯하고, 오히려 집안말 아씨·언니·형이 어울릴 때가 있다. ‘씨·군·양’은 ‘하게체’ 상대를 부를 때 어울린다. 호칭은 부르고 듣기에 편하면 된다. 지나치거나 모자라면 껄끄럽게 되고, 껄끄러우면 뜻이 잘 통하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66
31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4
311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50
3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61
30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58
30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47
30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09
30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91
305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246
304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05
303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3
302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170
30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23
30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18
29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35
29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69
29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85
29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93
295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80
29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83
29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1
292 순직 風文 2022.02.01 1332
29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