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37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5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40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38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54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12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61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14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13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07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33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239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57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832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155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91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32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128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48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41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48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41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43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