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47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57
3282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54
3281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55
328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456
3279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456
3278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56
3277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56
3276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57
3275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60
32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60
3273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62
3272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63
327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65
327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66
326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68
326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69
3267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76
3266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79
3265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479
3264 내일러 風文 2024.01.03 1479
3263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82
3262 까치발 風文 2023.11.20 1482
3261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