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50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96
290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27
289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055
28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210
287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61
286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50
285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135
284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358
28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115
28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87
281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29
28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50
27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097
278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242
277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48
276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99
275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222
274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66
273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47
272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245
271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72
270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549
269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