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7 11:48

도내와 섬안

조회 수 652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내와 섬안

해안 지방이 아닌 곳에 ‘섬’과 관련된 땅이름이 붙어 있음은 특이한 일이다. 경북 문경 가은읍의 ‘도내’(島內)나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의 ‘도리’(島里) 들이 그렇다. 이런 땅이름은 ‘섬’과는 무관하다. 그런데도 ‘섬’을 뜻하는 한자 ‘도’(島)가 쓰인 까닭은 뭔가?

내륙 쪽에 나타나는 ‘섬’과 관련된 땅이름은 대체로 굽이진 강물과 관련이 있다. 달리 말해 ‘도내’나 ‘도리’는 굽이진 강의 안쪽에 있는 마을을 뜻한다. 여기서 ‘도’는 ‘돌다’라는 뜻을 지닌다. 곧 물이 돌아 흐른다는 뜻의 ‘도는 마을’이라는 말이다. ‘도는 마을’은 ‘돌말’이라는 합성어를 이루기도 하며, ‘돌내’나 ‘도내’로 굳어지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도’에 해당하는 한자인 ‘도’(島)가 나타나게 되며, 이를 다시 우리말로 옮기면서 ‘섬안’이라는 땅이름까지 나온다.

이처럼 ‘도내’가 ‘섬안’으로 변하게 되면, 왜 이런 땅이름이 생겨났는지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돌이 거의 없는 곳인데도 ‘돌머루’라는 땅이름이 생기거나 ‘석천’(石川)이라는 이름이 붙기도 한다. 심지어는 복숭아 산지도 아닌데 ‘도내’(桃內)라는 한자가 쓰이기도 하는데, 이 또한 ‘섬안’이나 ‘석천’이 생성되는 원리와 같다. 영월군 주천면의 ‘도천’(桃川)은 후삼국 때 ‘도내부곡’(刀乃部曲)이었다. ‘도내’가 ‘도천’으로 바뀌고서, 조선 선비 성임이 신선의 복숭아를 따서 임금께 바치고 장수를 빌며 신선 만나기를 축원했다는 얘기가 덧붙은 것은 자연스런 일인 셈인가?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900
321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68
3215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68
3214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69
3213 '-시키다’ 風文 2023.12.22 1571
321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76
3211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76
3210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576
3209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78
3208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579
3207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579
3206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80
320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81
3204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84
3203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586
3202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87
320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87
320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89
319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591
3198 ○○노조 風文 2022.12.26 1593
319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94
3196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97
3195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