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7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어느 말겨레에 들지 못하고 두 언어가 뒤섞여 이루어진 말이 있다. 이를 튀기말이라 한다. 튀기말의 대표적인 형태가 피진이다. 피진은 주로 바다를 건너 장사하는 사람들 사이에 사용되던 말이다. 대개는 영어나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에 바탕을 두고 현지 토박이말을 섞어 형성되는데, 낱말의 수도 한정되고 문법도 매우 단순화되어 있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꼭 필요한 만큼의 낱말과 문법으로만 이루어진 게 튀기말이다.

피진 중에는 중국의 피진영어가 대표적이다. 피진이란 말 자체가 비즈니스(business)의 중국 발음을 딴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나 태평양에 여러 토박이말과 서양말 사이에서 생겨난 피진들이 여럿 있다. 대개 낱말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말에서 왔고 문법은 토박이말에서 따왔다.

피진은 친밀하지 않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느라 생긴 것으로 소통할 필요성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집단 사이 관계가 매우 긴밀해져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언어를 완전히 배울 수 있게 되면 피진은 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느 쪽도 상대방 언어를 온전히 배울 마음이 없는 한 피진은 사라지지 않는다. 삼백년 동안이나 유지된 중국의 피진영어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피진이 한 족속의 모국어로 뿌리내리게 되어 어린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이를 정식으로 습득하는 말이 될 때 이를 ‘크레올’이라 한다. 임시변통이던 튀기말이 정식 언어로 태어나는 셈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11
246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95
245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94
244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93
24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91
242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90
24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88
240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87
239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80
238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77
23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77
23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76
235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376
234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74
23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73
23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372
231 ○○노조 風文 2022.12.26 1369
230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67
229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66
228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65
22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64
226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64
22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