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44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어느 말겨레에 들지 못하고 두 언어가 뒤섞여 이루어진 말이 있다. 이를 튀기말이라 한다. 튀기말의 대표적인 형태가 피진이다. 피진은 주로 바다를 건너 장사하는 사람들 사이에 사용되던 말이다. 대개는 영어나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에 바탕을 두고 현지 토박이말을 섞어 형성되는데, 낱말의 수도 한정되고 문법도 매우 단순화되어 있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꼭 필요한 만큼의 낱말과 문법으로만 이루어진 게 튀기말이다.

피진 중에는 중국의 피진영어가 대표적이다. 피진이란 말 자체가 비즈니스(business)의 중국 발음을 딴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나 태평양에 여러 토박이말과 서양말 사이에서 생겨난 피진들이 여럿 있다. 대개 낱말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말에서 왔고 문법은 토박이말에서 따왔다.

피진은 친밀하지 않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느라 생긴 것으로 소통할 필요성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집단 사이 관계가 매우 긴밀해져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언어를 완전히 배울 수 있게 되면 피진은 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느 쪽도 상대방 언어를 온전히 배울 마음이 없는 한 피진은 사라지지 않는다. 삼백년 동안이나 유지된 중국의 피진영어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피진이 한 족속의 모국어로 뿌리내리게 되어 어린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이를 정식으로 습득하는 말이 될 때 이를 ‘크레올’이라 한다. 임시변통이던 튀기말이 정식 언어로 태어나는 셈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3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96
3172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277
317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277
3170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278
3169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279
3168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281
3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281
3166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281
3165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282
3164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283
316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283
316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283
316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283
3160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284
3159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285
3158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286
3157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287
3156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291
315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291
3154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292
3153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293
3152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293
3151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3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