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1 15:17

밑과 아래

조회 수 776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밑과 아래

“요즘처럼 ‘위’에 물이 맑아야 ‘아래’ 물이 맑다는 속담이 절실한 때가 없었다.”
“문갑 ‘위’에만 대충 찾지 말고 ‘밑’에까지 샅샅이 잘 찾아봐.”

보다시피 ‘아래’도 ‘위’와 짝하여 맞서고, ‘밑’도 ‘위’와 짝하여 맞선다. 그래서 ‘밑’과 ‘아래’가 서로 어떻게 다른 낱말인지도 그만큼 가늠하기 어렵고, ‘위’는 ‘밑’과 맞서는 뜻도 지니고 ‘아래’와 맞서는 뜻도 지녀서 뜻넓이가 갑절로 넓은 줄도 알겠다.

‘밑’은 부피가 있는 무엇이 놓이는 자리에 닿는 데를 뜻한다. “저 녀석은 다리 밑에서 주워왔어.” 하며 아이를 놀릴 적의 ‘다리 밑’도 물을 건너는 다리 밑이 아니라 그 애 어머니의 다리 밑을 말하므로 앉으면 바로 몸이 놓이는 자리에 닿는다. 우리 옷은 바짓가랑이가 갈라지는 곳에 ‘긴밑’과 ‘고깔밑’을 대는데 그런 밑도 입고 앉으면 엉덩이가 놓이는 자리에 닿는다. 이처럼 ‘밑’은 ‘위’라는 맞선 말이 없이도 홀로 잘 쓰일 수 있다.

‘아래’는 부피가 있는 것이거나 아니거나를 가리지 않고, 어떤 잣대로 마음에 가로 금을 그어놓고 금에서 낮은 쪽(방향)을 뜻한다. 그리고 그 금에서 높은 쪽은 물론 ‘위’다. 그러니까 ‘아래’와 ‘위’는 반드시 서로 짝하여 쓰이면서 마음에 그어놓은 금을 잣대로 서로 거꾸로 가는 쪽을 뜻한다. 이때 ‘위’는 높은 하늘 쪽을 차지하고 ‘아래’는 낮은 땅 쪽을 차지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42
24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477
245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537
244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89
243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604
242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503
24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62
240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84
239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542
238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501
237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777
236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466
235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560
234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441
233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878
232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509
231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734
230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404
229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427
228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599
227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990
226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681
225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7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