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5 21:06

재개비

조회 수 716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개비

‘재개비’는 재의 티끌이다. “반반히 불타버린 동네쪽에서는 아직도 재개비가 흩날리고 매캐한 파벽토냄새가 풍겨왔다.” (피바다)
“비방울이 후둑후둑 떨어졌다. 벌겋게 널린 숯불바닥에 구름처럼 김이 피여오르고 재개비가 흩날렸다.”(시대의 탄생 1)

‘재’라고 해도 될 것을 왜 ‘재개비’라 했을까? ‘재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거나 재가 조금 날리는 것’을 두루 나타내는데, ‘재개비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는 것’은 아니다.

재개비의 ‘개비’는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성냥개비, 장작개비’ 등이 그렇다. 심지어 ‘팔랑개비, 바람개비’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개비’가 본디‘가늘고 길쭉한 토막의 낱개’를 뜻하는데, 풍차처럼 바람에 돌아갈 수 있도록 ‘개비’를 붙여서 만들었기에 그렇게 이름 짓지 않았을까.

'깨비’도 마찬가지다. 북녘말 ‘동이깨비’와 남북이 같이 쓰는 ‘지저깨비’가 있다. ‘개비’가 ‘깨비’로 쓰이는 것은 발음에 이끌려 굳어진 탓이다. ‘재개비, 성냥개비, 장작개비’도 두루 ‘깨비’로 소리난다. ‘동이깨비’는 말 그대로 질그릇인 ‘동이’가 깨진 조각을 말한다. 지저깨비는 ‘지저분하다’와 ‘개비’의 결합으로 보이는데 ‘지저분한 조각’이다. 남북 모두 나무를 패거나 깎을 때 나오는 나뭇조각을 이르고, 북녘에서는 나무 이외의 대상에도 쓰인다.

“곡괭이는 비척거리며 튕겨오를뿐 콩크리트에서는 작은 지저깨비도 일지 않았다.”(평양시간)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42
22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83
223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82
222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382
221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81
220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80
219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79
21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78
21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77
216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77
21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77
214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76
213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73
21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72
211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71
21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71
20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69
208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67
207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63
206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63
205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62
204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59
203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