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28

난친이 바위

조회 수 734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친이 바위

땅이름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사는 지역뿐만 아니라 산이나 강·골짜기·바위 등의 이름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이름 가운데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말들이 다수 발견된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좌운리의 ‘난친이 바위’도 이런 이름 가운데 하나다. 이 바위는 마을 앞 산에 절벽처럼 서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에 난친이가 산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난친이’가 어떤 새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다. 우리말 사전이나 동물도감에서도 이 새를 찾을 방법은 없다. 왜냐하면 ‘난친이’는 부엉이나 올빼미처럼 큰 새를 뜻하는 말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마을 사람들은 난친이는 낮에 활동하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고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난친이가 날면 마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도 갖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난친이가 나는 모습을 보았다는 이는 없다.

그렇다면 ‘난친이’는 어떤 새일까? 사실 이 말은 ‘나친’ 또는 ‘라친’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훈몽자회>에는 ‘나친 왈 아골(鴉?)’이라는 풀이가 나타나며, <역어유해>에서도 ‘아골(큰새)’을 ‘나친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기문 교수는 이 단어의 기원을 토이기어 ‘라진’에서 찾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라진’, ‘나친’, ‘난친이’는 모두 ‘큰 새’를 뜻하는 몽골어 기원의 어휘로 고려시대 이후에 들어온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전에 생성된 이름이 오늘날까지도 쓰이는 건 땅이름이 강한 생명력을 지닌 까닭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68
3238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477
323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477
3236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78
3235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478
3234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478
3233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479
3232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81
3231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82
3230 지슬 風文 2020.04.29 1483
3229 '-시키다’ 風文 2023.12.22 1483
322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484
3227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484
3226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84
322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485
322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85
3223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488
3222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89
3221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493
3220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93
3219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93
321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494
3217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