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3 01:31

뜰과 마당

조회 수 76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뜰과 마당

지난 세기 동안 우리 집의 모습과 쓰임새가 크게 달라져 말들 또한 뜻과 쓰임새 모두 많이 달라졌다. 지난날 우리네 집은 울이나 담으로 둘러싸인 집터 위에 저마다 몫이 다른 쓰임새로 여러 자리가 나누어졌다. 방과 마루와 부엌을 중심으로 하는 집채를 비롯하여 마당, 뜰, 남새밭이 집터를 채웠다. 집의 노른자위는 물론 위채, 아래채, 사랑채로 나누어지는 삶의 보금자리인 집채다. 남새밭은 대문과 집채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구석진 곳에 자리잡고 철따라 반찬거리 남새를 길러냈다.

‘마당’은 집에서 집채나 남새밭에 못지않게 종요로운 자리다. 남새밭이 없는 집은 있을 수 있지만 마당이 없는 집은 거의 없었다. 살림이 넉넉하고 집터가 넓으면 앞마당, 뒷마당, 바깥마당까지 갖춘 집들도 적지 않았다. 마당은 일터다. 타작을 하고, 우케를 널고, 길쌈을 하고, 명절이 닥치거나 혼례나 장례나 환갑 같은 큰일이 생기면 잔치판도 벌이고 놀이판도 벌이고, 여름철 밤이면 모깃불을 피워놓고 이야기판도 벌였다.

‘뜰’은 집에서 가장 뒷전으로 밀리는 자리다. 집채처럼 보금자리도 아니고, 마당처럼 일터도 아니고, 남새밭처럼 먹거리를 내놓지도 않는다. 뜰은 삶을 기름지게 하는 쉼터다. 그래서 살림살이가 넉넉해지면 곧장 뜰이 넓어진다. 울이나 담 아래 몇 포기 꽃을 심는 것에서 비롯하여 앵두에서 살구나 감과 같은 과일 나무를 심고, 천리향이나 매화 같은 꽃나무를 심고, 마침내 연꽃이 피고 수양버들이 드리워지는 연못까지 갖추기도 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2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7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12
3238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37
3237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37
3236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39
3235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39
3234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42
3233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43
3232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44
3231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45
3230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45
3229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48
3228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48
3227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49
322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52
3225 순직 風文 2022.02.01 1552
3224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52
322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54
3222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55
3221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56
3220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56
3219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56
3218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56
3217 '-시키다’ 風文 2023.12.22 15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