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4

엄리대수와 아시

조회 수 817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리대수와 아시

‘호태왕비문’에서, “(추모왕이 하늘의) 시킴을 따라 수레를 몰고 남쪽으로 순행하여 내려오는데, 부여 땅 엄리대수를 지나가게 되었다”라는 기록은 흥미로운 풀이를 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안시성의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엄리대수’와 ‘안시’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은 황윤석의 <이재집>에 나타난다. ‘화음방언자의해’에서 황윤석은 신라 옛말에 ‘아시새’, 곧 ‘어시새’가 있다고 하였다. 그가 어떤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해석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가요 <사모곡>에도 나타나듯이 우리말에서 ‘어시’는 ‘어머니’, 또는 ‘부모’란 뜻을 지닌다. 또한 경남 함안의 옛이름이 ‘아시량’이다.

안시성을 봉황성이라 부른 기록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윤석은 ‘봉황’은 ‘부헝’(부엉이)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풀이는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머니’나 ‘부모’ 또는 ‘크고 평안함’을 뜻하는 토박이말 ‘아시’를 ‘안시’라는 한자음으로 적었다는 설명은 매우 설득적이다. 또한 <삼국사기> 동명성왕 조에서는 이 강의 이름을 ‘엄사수’ 또는 ‘개사수’라고 표현하였다. ‘엄사’는 ‘엄리’보다 ‘어시’에 더 가깝다.

이처럼 ‘엄리대수’와 ‘아시’가 동일계 어휘라고 한다면, 삼국의 언어가 매우 동질적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록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 세력은 달랐다고 할지라도 우리 조상들의 말은 같은 뿌리를 갖고 있음을 땅이름이 보여주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585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38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472
    read more
  4. 밑과 아래

    Date2008.03.01 By바람의종 Views7456
    Read More
  5. 새라새롭다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9380
    Read More
  6. 동남아 언어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7464
    Read More
  7. 빛깔말

    Date2008.02.28 By바람의종 Views7043
    Read More
  8. 이팝나무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11326
    Read More
  9. 맑다와 밝다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6777
    Read More
  10. 재개비

    Date2008.02.25 By바람의종 Views7063
    Read More
  11. 중국의 언어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10329
    Read More
  12. 난친이 바위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7195
    Read More
  13. 꽃다지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744
    Read More
  14. 뜰과 마당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462
    Read More
  15. 누겁다/ 서겁다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059
    Read More
  16.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8264
    Read More
  17. 큰 바위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720
    Read More
  18. 애기똥풀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6057
    Read More
  19. 슬기와 설미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8566
    Read More
  20. 쓰겁다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11028
    Read More
  21. 아메리카 토박이말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7937
    Read More
  22. 엄리대수와 아시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8170
    Read More
  23. 원추리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6150
    Read More
  24. 한글과 우리말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7214
    Read More
  25. 남새

    Date2008.02.18 By바람의종 Views66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