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47

한글과 우리말

조회 수 752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과 우리말

철든 사람이면 ‘한글’과 ‘우리말’의 뜻을 가리지 못할 리는 없다. 한글과 우리말은 그만큼 뜻이 아주 다른 말이다. 그러나 요즘 알 만한 이들이 이들 낱말을 자주 뒤섞어 쓴다. 무엇보다 한글과 우리말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빛나게 갈고닦아야 한다고 소매를 걷고 나선 이들 가운데서 그런 사람을 자주 만나니 안타깝다.

한글은 우리 글자 이름이다. 본디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라 불렀으나 줄여서 ‘바른 소리’(정음)라 했는데, 중국 글자를 우러르는 선비들이 사백 년 동안 ‘상스러운 글자’(언자·언문)라 부르며 업신여겼다. 대한제국에 와서 ‘나라 글자’(국자·국문)라 했는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 부르자 제자들이 1927년에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낸 뒤부터 널리 퍼졌다. 남북이 갈라지자 북에서는 한글이 ‘한국글자’로 들린다면서 굳이 ‘조선글자’라 한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에게서 나고 자란 토박이말이다. 우리 겨레의 마음에서 씨앗이 생겨 겨레의 삶에서 움이 트고 싹이 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기에 그대로 우리 얼의 집이다. 그러나 토박이말로만 살아갈 수는 없어 오가며 삶을 주고받는 이웃 겨레의 말도 들여오게 마련이고, 이렇게 들온 남의 말도 제대로 길이 들면 ‘들온말’(외래어)로서 우리말이 된다. 이런 우리말의 이름을 남에서는 ‘한국어’라 하고 북에서는 ‘조선말’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배달겨레의 말이란 뜻으로 ‘배달말’이라 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45
3282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27
3281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28
328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28
3279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29
327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31
3277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37
3276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39
3275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39
327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41
3273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42
3272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43
3271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43
327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45
3269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49
326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51
3267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51
3266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52
3265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53
3264 까치발 風文 2023.11.20 1454
3263 내일러 風文 2024.01.03 1454
3262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455
3261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