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47

한글과 우리말

조회 수 758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과 우리말

철든 사람이면 ‘한글’과 ‘우리말’의 뜻을 가리지 못할 리는 없다. 한글과 우리말은 그만큼 뜻이 아주 다른 말이다. 그러나 요즘 알 만한 이들이 이들 낱말을 자주 뒤섞어 쓴다. 무엇보다 한글과 우리말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빛나게 갈고닦아야 한다고 소매를 걷고 나선 이들 가운데서 그런 사람을 자주 만나니 안타깝다.

한글은 우리 글자 이름이다. 본디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라 불렀으나 줄여서 ‘바른 소리’(정음)라 했는데, 중국 글자를 우러르는 선비들이 사백 년 동안 ‘상스러운 글자’(언자·언문)라 부르며 업신여겼다. 대한제국에 와서 ‘나라 글자’(국자·국문)라 했는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 부르자 제자들이 1927년에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낸 뒤부터 널리 퍼졌다. 남북이 갈라지자 북에서는 한글이 ‘한국글자’로 들린다면서 굳이 ‘조선글자’라 한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에게서 나고 자란 토박이말이다. 우리 겨레의 마음에서 씨앗이 생겨 겨레의 삶에서 움이 트고 싹이 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기에 그대로 우리 얼의 집이다. 그러나 토박이말로만 살아갈 수는 없어 오가며 삶을 주고받는 이웃 겨레의 말도 들여오게 마련이고, 이렇게 들온 남의 말도 제대로 길이 들면 ‘들온말’(외래어)로서 우리말이 된다. 이런 우리말의 이름을 남에서는 ‘한국어’라 하고 북에서는 ‘조선말’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배달겨레의 말이란 뜻으로 ‘배달말’이라 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28
3238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20
3237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22
3236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24
323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26
3234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26
3233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27
3232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28
323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30
3230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31
3229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31
3228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34
322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34
3226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35
3225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36
3224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40
3223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41
3222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42
3221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42
3220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542
3219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43
321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43
3217 순직 風文 2022.02.01 15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