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7 13:18

굿

조회 수 790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굿

글자에 적힌 것만 참된 줄로 알던 역사학에서는 중국 글자를 빌려 써놓은 우리 겨레의 삶이 중국 따라 하기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땅밑에 파묻힌 삶의 자취를 찾고 이름없는 백성의 삶으로 눈길을 돌린 고고학·인류학·민속학이 일어나 살펴보니까 우리 겨레의 삶이 동아시아 문명을 밝히고 이끌어온 횃불이었음이 두루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자랑스런 지난날 우리 겨레 삶의 뿌리에 ‘굿’이 있고, 굿 한가운데 ‘서낭’이 있다.

굿은 사람이 서낭을 모시고 함께 어우러져 서로 주고받는 노릇이다. 사람과 서낭이 한자리에서 만나 뜻을 주고받으며 서로 사랑을 나누는 몸짓이 굿이다. 하느님은 아픔과 서러움에 시달려 울부짖는 사람의 바람을 언제 어디서나 귀담아 들으며 서낭을 보내어 어루만져 주지만 사람은 그런 서낭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지 못한다. 굿은 그런 사람에게 서낭을 보고 들을 수 있게 해준다.

굿의 임자는 하느님이고 서낭이지만 굿을 벌이는 노릇은 하느님이나 서낭이 몸소 하지 않아서 굿을 벌이는 몫을 ‘무당’이 맡는다. 무당은 사람과 서낭을 맺어주는 고리 노릇을 하며 굿을 다스린다. 무당이 서낭을 굿판으로 맞이하고, 사람의 바람을 서낭에게 올려주며, 서낭의 꾸짖음과 어루만짐을 사람에게 내려주고, 서낭과 사람이 서로를 주고받아 어우러지게 하며, 마침내 서낭을 본디 자리로 보내준다. 이런 굿이 지난날 하느님과 서낭을 믿으며 동아시아 문명을 이끌면서 살아온 우리 겨레 삶의 뿌리였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19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77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815
    read more
  4. 밑과 아래

    Date2008.03.01 By바람의종 Views7464
    Read More
  5. 새라새롭다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9384
    Read More
  6. 동남아 언어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7464
    Read More
  7. 빛깔말

    Date2008.02.28 By바람의종 Views7048
    Read More
  8. 이팝나무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11331
    Read More
  9. 맑다와 밝다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6782
    Read More
  10. 재개비

    Date2008.02.25 By바람의종 Views7071
    Read More
  11. 중국의 언어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10335
    Read More
  12. 난친이 바위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7195
    Read More
  13. 꽃다지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749
    Read More
  14. 뜰과 마당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462
    Read More
  15. 누겁다/ 서겁다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060
    Read More
  16.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8267
    Read More
  17. 큰 바위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721
    Read More
  18. 애기똥풀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6064
    Read More
  19. 슬기와 설미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8566
    Read More
  20. 쓰겁다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11031
    Read More
  21. 아메리카 토박이말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7945
    Read More
  22. 엄리대수와 아시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8175
    Read More
  23. 원추리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6150
    Read More
  24. 한글과 우리말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7231
    Read More
  25. 남새

    Date2008.02.18 By바람의종 Views66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