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0 09:25

‘모라’와 마을

조회 수 784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라’와 마을


1988년 4월 중순에 발견된 울진군 봉평리의 비문은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은(차자 표기) 사례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큰 흥분을 가져다준 비문이다. 이 빗글에 대해서는 남풍현 교수가 비교적 자세히 연구를 한 적이 있는데, 땅이름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흥미로운 자료가 담겨 있다. 왜냐하면 비를 세운 사람으로 ‘거벌모라’의 ‘이지파 하간지’와 ‘신일지 일척’이라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모라’는 마을의 어원에 해당한다. <양서> 신라전에 “신라인들은 성을 건모라라고 한다”라는 기록이나, <삼국사기>의 ‘모루성’(충남 서천이나 예산으로 추정)에 들어 있는 ‘모라’와 ‘모루’는 모두 큰 마을인 성을 뜻한다.

그런데 ‘모라’를 ‘산’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왜냐하면 ‘모라’ 또한  ‘의 변이형인 ‘마루’, ‘머리’와 같은 계통의 낱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가 ‘산’과 ‘머리’를 뜻하는 동음이의어였다고 한 바 있다. 이 견해를 따르면 ‘검은모루’는 ‘검은산’이란 뜻이 된다.

그러나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는 ‘돌모루’는 ‘산’보다는 ‘모퉁이’나 ‘벼랑’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땅이름은 대체로 한자말 ‘석우’(石隅)로 바뀐다. 이를 고려한다면, ‘‘’와 ‘모루’, ‘모라’는 별개의 낱말로 보인다. 이처럼 비문에서도 땅이름의 어원을 밝히는 말을 찾아낼 수 있음은 기쁜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925
326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151
3259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51
3258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53
3257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153
3256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154
3255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155
3254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156
3253 ○○노조 風文 2022.12.26 1162
3252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163
3251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163
3250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165
3249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165
3248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166
3247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168
3246 김 여사 風文 2023.05.31 1172
3245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174
324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175
3243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175
3242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176
3241 옹알이 風文 2021.09.03 1177
3240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177
3239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1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