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48

돌서덕

조회 수 949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서덕

‘돌서덕’은 ‘돌이 많은 강이나 내의 바닥’을 말한다.

“맑은 물이 은은한 진폭을 울리며 흐르다가도 어느 한 곳에 와서 꿀룩꿀룩 돌서덕에 숨어 버린다.”(리병수, 〈붉은 지평선〉)

돌서덕과 비슷한 말로 남녘에서는 ‘서덜’을 쓴다. 서덜은 ‘냇가나 강가에 돌이 많은 곳’을 말하므로 강바닥을 뜻하는 돌서덕과 약간 위치가 다르다. 북녘에서도 서덜을 쓰는데, 강이나 내의 바닥을 포함한 ‘돌이 많이 깔린 곳’을 모두 가리키므로 돌서덕보다 넓은 뜻이다.

“전날에는 흔히 큰물이 밀려내려 여기의 모래논은 서덜로 변했다.”(조선말대사전)

여름에 홍수가 난 논에서 물이 빠지면 논에는 돌·자갈이 많이 남는다. 이런 곳을 서덜이라고 한다. 또 남북에서는 각각의 서덜과 같은 뜻으로 ‘돌서덜’을 쓴다. 남북이 모두 서덜·돌서덜을 쓰는데 그 뜻이 조금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1950년 발행된 〈큰사전〉을 보면, 남녘에서 쓰는 뜻으로 서덜이 있고, 돌서덜과 돌서덕은 없다. 그렇다면 아마도 남북에서 두 낱말을 같은 뜻으로 쓰다가, 북녘에서는 돌서덕이 쓰이게 되면서 기존 서덜의 뜻을 돌서덕이 맡고, 서덜은 그 뜻이 원래보다 좀 확장된 듯하다. 북녘말 서덜은 그 뜻이 넓어지면서 ‘돌바닥’과 비슷한 말이 되었다.

돌이 많은 산비탈을 너덜·너덜겅·돌너덜이라고 하는데, 그러고 보면 서덜·너덜은 곳에 따라 차이가 날 뿐 돌과 관계가 있는 것은 한가지라 하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958
3260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113
3259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056
3258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315
3257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47
3256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43
3255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026
3254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995
3253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068
3252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121
3251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976
3250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075
3249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033
3248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385
3247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570
324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155
3245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972
3244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377
3243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007
3242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937
3241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14
3240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270
3239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