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820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0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949
3282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83
3281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483
328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87
3279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87
3278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487
327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88
3276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8
327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88
3274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89
3273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90
3272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90
3271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91
3270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93
3269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94
326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95
326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496
326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99
326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99
3264 지슬 風文 2020.04.29 1501
3263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04
3262 까치발 風文 2023.11.20 1504
3261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