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62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29
3282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395
3281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395
3280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98
3279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99
327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399
3277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01
3276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04
3275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04
3274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04
3273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06
3272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06
327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07
327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07
3269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08
3268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408
3267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412
3266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13
3265 까치발 風文 2023.11.20 1416
326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17
3263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18
3262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19
3261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