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0 17:41

한뫼-노고산

조회 수 1028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뫼-노고산

우리나라 땅이름에 ‘할미’가 들어간 것이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할미는 한자로 표기하면 ‘노고’(老姑)가 된다. 이러한 땅이름에는 여러 가지 전설이 덧붙어 있다. 예를 들어 지리산 노고단은 혁거세의 어머니 선도성모의 제사를 지냈던 곳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그런데 ‘노고산’은 충남 공주, 경북 성주를 비롯하여 거의 전국 곳곳에서 발견된다. 더욱이 ‘노고’의 토박이말인 ‘할미봉’이나 ‘할미산’을 합친다면, 할머니와 관련된 땅이름은 그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할미’가 들어간 땅이름이 많은 까닭은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은 어머니나 할머니는 모계사회에서 여성을 중시하여 붙은 이름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할미’는 반드시 산에 붙은 땅이름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할미’의 ‘미’는 산의 토박이말인 ‘뫼’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곧 ‘할미’의 ‘할’은 ‘크다’의 뜻을 갖는 ‘한’이었으며, ‘미’는 ‘뫼’였다. ‘큰산’을 뜻하는 ‘한뫼’는 ‘할뫼’, 또는 ‘할미’로 불리었으며, 이 ‘할미’라는 낱말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전설이 덧붙게 되는 셈이다. 예를 들어 할미봉이나 할미산이 생겨나면, 이와 대응되는 할아비봉이 생겨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양양 서면의 할아비봉은 할미봉 맞은편에 있다. 할미와 할아비의 정겨운 이야기가 생겨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714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698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5Feb
    by 바람의종
    2008/02/05 by 바람의종
    Views 7284 

    이랑과 고랑

  5. No Image 05Feb
    by 바람의종
    2008/02/05 by 바람의종
    Views 9506 

    돌서덕

  6. No Image 05Feb
    by 바람의종
    2008/02/05 by 바람의종
    Views 8469 

    게르만 말겨레

  7. No Image 04Feb
    by 바람의종
    2008/02/04 by 바람의종
    Views 6550 

    노루귀

  8. No Image 04Feb
    by 바람의종
    2008/02/04 by 바람의종
    Views 8198 

    마개와 뚜껑

  9.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8/02/03 by 바람의종
    Views 7355 

    가닥덕대

  10.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8/02/03 by 바람의종
    Views 6898 

    라틴말의 후예

  11.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8/02/03 by 바람의종
    Views 7984 

    물과 땅이름

  12. No Image 02Feb
    by 바람의종
    2008/02/02 by 바람의종
    Views 8094 

    뚱딴지

  13. No Image 02Feb
    by 바람의종
    2008/02/02 by 바람의종
    Views 9710 

    괴다와 사랑하다

  14. No Image 02Feb
    by 바람의종
    2008/02/02 by 바람의종
    Views 8882 

    아프리카의 언어들

  15.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8013 

    ‘돌미’와 ‘살미’

  16.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7451 

    올림과 드림

  17.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8721 

    무릎노리

  18.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7410 

    아랍말과 히브리말

  19.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8732 

    별내와 비달홀

  20. No Image 31Jan
    by 바람의종
    2008/01/31 by 바람의종
    Views 9819 

    으악새

  21. No Image 31Jan
    by 바람의종
    2008/01/31 by 바람의종
    Views 6922 

    까닭과 때문

  22. No Image 31Jan
    by 바람의종
    2008/01/31 by 바람의종
    Views 7478 

    아시저녁·아시잠

  23.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08/01/30 by 바람의종
    Views 9228 

    중앙아시아 언어들

  24.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08/01/30 by 바람의종
    Views 10280 

    한뫼-노고산

  25.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08/01/30 by 바람의종
    Views 9169 

    개불알꽃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