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5:02

마니산과 머리

조회 수 884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니산과 머리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거서간’이었다. ‘거서간’의 ‘간’은 ‘건길지’의 ‘건’과 마찬가지로 임금을 뜻하는 토박이말이다. 신라 제2대 임금인 남해는 ‘차차웅’이었으며, 3대 임금인 유리부터는 ‘니사금’(임금)이라 불렸다. 이러한 왕의 칭호가 눌지에 이르러서는 ‘마립간’이라 불린다.

‘마립간’을 두고 “김대문이 말하기를 방언의 말뚝(궐)이요, 궐은 사람의 지위에 따라 설치하는데, 왕의 궐은 중심에 배열하고, 신하의 궐은 아래에 배열한다”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렇지만 ‘마립간’이 ‘말뚝’과 관련된다는 김대문의 주장은 토박이말 ‘머리’와 한자의 ‘말뚝’을 연상한 표현일 뿐이다. 왜냐하면 ‘마립간’의 ‘마립’은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인 까닭이다.

강화도 ‘마니산’은 본래 ‘마리산’이었다. ‘마리’는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로, 모음조화가 철저하게 지켜졌던 시대의 표기다. 이 말은 ‘마루’, ‘머리’로 소리가 조금 바뀐다. 한자 ‘宗’을 ‘마루 종’이라 읽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마리’의 음이 땅이름에서 ‘마라’나 ‘마이’ 또는 ‘마니’로 변한 경우는 진안의 ‘마이산’, 제주의 ‘마라도’가 있다. 비록 ‘마이산’(馬耳山)이나 ‘마라도’(滅島)에 들어 있는 한자의 뜻에 따라 ‘말의 귀를 닮은 산’이나 ‘파도에 갈리는 섬’처럼 풀이하기도 하나 두루 주변보다 두드러진 산과 섬이라고 할 수 있으니 ‘머리’에 해당한다. 현지 사람들이나 땅이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니산 아닌 마리산으로 부르자는 움직임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02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462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111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153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214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21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92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129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71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77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344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653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18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423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918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94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765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1060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90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200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960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261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7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