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4 18:43

이마귀

조회 수 918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마귀

북녘말 ‘이마귀’는 [이마뀌]로 발음되므로 남녘 표기법으로는 ‘이맛귀’로 적는다. 이는 ‘머리카락을 경계로 하는 이마 위쪽의 양쪽 구석’을 말한다.

“모자는 좀 작을사하였지만 이마귀가 좀 벗어져올라간 시원해보이는 얼굴에 잘 어울리여 어딘가 친근미를 느끼게 하였다.” (장편소설 <1932년>)

이맛귀의 위치는 남성 탈모의 엠(M)꼴 탈모에서 머리가 빠진 부위다. 보기에서 묘사된 사람은 엠꼴 탈모 초기로 보인다. 이마 가운데 윗부분은 ‘이마전(북)/이맛전’이라고 한다. 이맛귀의 중간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마의 좌우측 바깥 언저리 부위는 특별한 명칭이 없다. 옆얼굴에서 볼의 윗부분을 말하는데, ‘옆이마’라고 할 수 있겠다. 옆이마에는 관자놀이가 있다.

이맛귀는 ‘이마’와 ‘귀’가 결합된 말이다. 귀는 구석, 모서리를 가리킨다. 귀가 결합된 낱말로는 ‘길귀·날귀·눈귀·마당귀’ 등이 있다. 길귀는 ‘갓길에 해당하는 말’이다. 날귀는 ‘대패나 끌과 같은 연장의 날 끝 양쪽 끝부분’이다. 눈귀는 ‘눈초리에 해당하는 북녘말’이다. 마당귀는 ‘마당 한쪽 귀퉁이’다.

이맛귀를 활용하면 로마자를 쓰지 않고도 남성 탈모 유형을 표현할 수 있다. ‘엠꼴 탈모’는 ‘이맛귀 탈모’, ‘오(O)형 탈모’는 ‘정수리 탈모’, ‘유(U)형 탈모’는 ‘윗머리 탈모’라면 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20
33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201
3303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84
3302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58
3301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20
3300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160
329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275
3298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433
3297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25
3296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13
3295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00
329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475
3293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26
3292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753
3291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179
3290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58
3289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0900
3288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618
3287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06
3286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7864
3285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44
3284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19
3283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5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