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8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36
576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378
575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59
574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55
573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860
572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518
571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9010
570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57
569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1
»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805
567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5
566 아닌 밤중에 홍두깨 바람의종 2008.01.21 11764
565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475
564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70
56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857
562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4
561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3
560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837
559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78
558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232
557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9
556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19
555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4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