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8 06:32

압록강과 마자수

조회 수 690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압록강과 마자수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압록강을 건너 연경(북경)을 거쳐 황제의 행궁이 있었던 열하까지 여행한 기행문이다. 이 책에서 압록강은 ‘마자수’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근원이 말갈의 백산(백두산)으로부터 출발하며, 물빛이 오리의 머리빛깔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압록강은 분명 물빛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런데 압록강을 왜 ‘마자수’(馬紫水)라 불렀던 것일까?

흥미로운 사실은 ‘마자’가 용(龍)을 뜻하는 토박이말 ‘미르’와 관련이 있다는 황윤석의 해석이다. 황윤석은 영조 때의 실학자로〈이제속고〉라는 문집으로 유명하다. 이 책의 잡저에는 ‘화음방언자의해’라는 글이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중국의 한자음이 우리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곧 ‘마자’와 ‘미르’는 같은 소리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압록강을 ‘마자수’ 또는 ‘용만’(龍灣)이라 불렀고, 또 압록강 가까이 있는 ‘의주’를 ‘용만’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땅이름 가운데 미르 ‘용’자가 들어간 곳도 비교적 많다. 유래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변에는 ‘용정’(龍井)이 있고, 서울에서 ‘용산’이 있다. 서울의 용산은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 용이 나타났던 까닭으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원보다는 설화 속에서 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자수’에 ‘미르’가 남아 있듯이 풍요로운 우리말의 창고 구실을 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8
136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617
135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290
134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589
13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436
132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465
13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984
130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769
129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22
128 ○○노조 風文 2022.12.26 1390
127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86
12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79
125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36
124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760
123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237
122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50
121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24
12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20
119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82
118 “김” 風文 2023.03.06 1733
11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09
11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04
115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