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6 03:56

미래시제

조회 수 763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래시제

어느 나라 말이든 지난적(과거)을 표현하는 방법은 분명하다. 그러나 올적(미래)을 나타내는 방법은 일정하지 않다. 우리는 대체로 ‘-겠-’으로 올적을 표현하지만, ‘-겠-’은 미래뿐만 아니라 의지·추측도 나타낸다. “어제 굉장히 재미있었겠구나”에 쓰인 ‘-겠-’은 지난 일을 추측하는 것이지 결코 미래가 아니다. 또한 ‘-겠-’을 쓸 자리에 ‘-을 것이(다)’를 자주 쓴다. 영어에서도 과거는 어미 ‘-ed’로 표현하지만, 미래를 나타내는 어미는 따로 없다. 그래서 보조동사 ‘will’이나 ‘shall’을 써서 미래를 나타내는데, 역시 의지·추측도 나타낸다.

인도 미슈미말은 지금 시간에서 멀고 가까운 정도에 따라 다양한 어미를 갖췄고, 아프리카 벰바말도 미래를 여러 등급으로 나눠 쓴다. 미슈미말에서 ‘ha tape tha-de’라 하면 내가 금방 밥을 먹을 것이라는 뜻이고, ‘ha tape tha-ne’라 하면 한참 뒤에 내가 밥을 먹을 예정이라는 뜻이다. 벰바말 역시 과거시제처럼 미래도 네 등급으로 나뉘어 있다. ‘ba-alaa-boomba’라 하면 한 서너 시간 지나서 일할 것이라는 뜻이며, ‘ba-lee-boomba’라 하면 오늘 늦게 일할 것이라는 뜻이고, ‘ba-ka-boomba’라 하면 내일 일할 것이라는 뜻이며, ‘ba-kaa-boomba’라 하면 모레 이후 일할 것을 나타낸다.

언뜻 보면 미래 표현이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이들은 아주 자연스럽게 구분해 쓴다. 언어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5
136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75
135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75
134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75
133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274
132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73
13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73
130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270
129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66
128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266
127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64
126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63
125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63
124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61
123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61
122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59
121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259
120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57
119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255
118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53
117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44
116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243
115 상석 風文 2023.12.05 12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