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3

울과 담

조회 수 748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과 담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 삼 년을 살고 나니 …” 이렇게 비롯하는 ‘진주난봉가’는 지난 시절 우리 아낙네들의 서럽고도 애달픈 삶을 그림처럼 노래한다. ‘울’이나 ‘담’이나 모두 삶의 터전을 지키고 막아주자는 노릇이다. 이것들이 있어야 그 안에서 마음 놓고 쉬고 놀고 일하며 살아갈 수가 있다. 울도 담도 없다는 것은 믿고 기대고 숨을 데가 없이 내동댕이쳐진 신세라는 뜻이다.

‘울’은 집이나 논밭을 지키느라고 둘러막는 것이다. ‘바자’나 ‘타리’로 만드는 것 둘이 있다. ‘바자’는 대·갈대·수수깡·싸리 따위를 길이가 가지런하도록 가다듬어 엮거나 결어서 만든다. 드문드문 박아둔 ‘울대’라고 부르는 말뚝에다 바자를 붙들어 매면 ‘울바자’가 된다. ‘타리’는 나무를 심어 기르거나 베어다 세워서 만든다. 탱자나무·잔솔나무·동백나무 같은 나무를 심어서 기르면 저절로 자라서 ‘생울타리’가 되고, 알맞게 자란 나무를 베거나 가지를 쳐서 세우고 울대 사이로 새끼줄로 엮어서 묶으면 그냥 ‘울타리’가 된다.

‘담’은 논밭 가를 막는 데는 쓰지 않고, 오직 집을 지키느라고 둘러막는 것이다. 흙에다 짚 같은 검불을 섞어서 짓이겨 쌓는 흙담, 흙과 돌을 층층이 번갈아 섞어서 쌓는 흙돌담, 오직 돌만으로 쌓는 돌담이 있다. 흙담·흙돌담은 반드시 위에 짚으로 이엉을 이거나 기와로 덮어서 눈비를 막아야 한다. 그러니까 눈비가 많고 비바람이 무서운 고장에서는 돌담이 아니면 견디기가 어렵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91
3326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068
3325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069
3324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071
3323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073
3322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073
3321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073
3320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074
3319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075
3318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075
331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077
331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078
3315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081
3314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085
3313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085
3312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085
3311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087
3310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087
330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088
3308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089
3307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093
3306 순직 風文 2022.02.01 1093
330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0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